헤드라인 (요약과 압축) |
하림, 양재동에 `쓰레기 제로` AI물류단지 짓는다 |
기사링크 |
|
본문 (본문 내용 복사) |
5.7조 투자 `초대형 물류단지`고급호텔·R&D센터도 들어서 빅데이터기반 첨단 ICT 도입 적정량만 주문받아 재고 줄여양재IC 부근 9만5000㎡ 규모 수도권 전 지역 2시간내 배송서울시에 투자의향서 제출 내년말 착공…2025년말 완공
![]() 하림그룹이 서울 양재동에 추진 중인 '도시첨단물류단지' 조성 프로젝트에 시동을 걸었다. 하림이 구상하는 이 프로젝트는 로봇과 인공지능(AI),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는 첨단 물류기술과 배출 쓰레기 '제로'를 실현하는 친환경 기술이 구현된 미래형 '그린&스마트' 복합물류단지다. 총 투자금액 5조7000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로 향후 금융회사와의 컨소시엄 구성 여부도 검토할 예정이다. 서울 강남 요지에 위치한 데다 사통팔달 교통망을 갖춰 시내는 물론 수도권 전 지역 소비자들에게 2시간 이내 배송도 가능해지게 된다. 연구개발과 주거, 상업, 문화시설 등이 복합적으로 들어서 시민들을 끌어들이는 랜드마크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된다. 하림산업은 9일 서울시에 도시첨단물류단지 조성을 위한 투자의향서를 제출하고, 단지 조성을 위한 기본 구상을 공개했다. 양재 물류단지는 2015년 정부가 지정한 6개 물류시범단지 중 하나다. 전체 용지규모만 9만4949.1㎡(2만8800평)에 달한다. 하림산업은 그동안 국토교통부·서울시 등과 개발 방식과 절차를 협의했으며, 서울시가 7월 물류단지 지정 및 개발 절차에 관한 조례를 제정·공포하면서 이번에 투자의향서를 제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. 서울시 관계자는 "심의를 빠르게 진행해 이르면 내년 하반기 인허가될 가능성도 있다"고 설명했다. 큰 문제가 없다면 내년 말 착공해 2025년 말~2026년 중에는 완공도 가능해진다. 하림은 우선 △포장 없는 물류 △쓰레기 없는 물류 △재고 없는 물류를 핵심으로 하는 첨단 유통물류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. 쓰레기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, 단지 내 시설에서 발생하는 생활 쓰레기는 지하에 설치된 재활용 처리 설비에 모아 70% 이상 재활용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. 특히 음식물·식자재 쓰레기는 발생 즉시 수집해 가축사료·비료 원료 등으로 100% 재활용한다는 계획이다. 박스나 불필요한 포장재를 없애고 원제품 그대로를 배송해 물류과정 쓰레기도 크게 줄일 계획이다. 주문부터 배송에 이르는 물류·유통 전 흐름에 AI·빅데이터 기반 첨단 정보통신기술(ICT)을 도입해 주문 제품을 생산현장에서 적시에 적량만 공급받고 지체 없이 배송하는 '저스트 인 타임(Just in Time)' 개념을 도입해 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계획이다. 수소트럭 심야 운행, 콜드체인 시스템을 갖춘 전기차 트럭 운영 등 미래 기술과 청정에너지 기술도 활용한다. 아울러 물류 로봇·자율배송 등 미래 첨단물류 연구개발사업 특화단지를 조성하고, 물류·유통 과정에 AI·빅데이터 기반의 첨단 ICT를 도입할 계획이다. 양재 물류단지는 지하에 이 같은 최첨단 유통물류시설을 조성하고, 지상에는 업무시설과 연구개발시설, 광장, 컨벤션, 공연장, 판매시설, 호텔 등을 짓는다. 첨단물류뿐 아니라 사람들이 모여들어 일하고 즐기고 쇼핑도 하는 복합몰 기능까지 추가해 수도권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조성한다는 게 하림 측 구상이다. 인허가를 감안해 조심스럽지만, 야심 찬 계획과 디자인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. 하림 양재 물류단지의 큰 장점은 '입지'다. 서울 강남권이자 수도권의 정중앙에 위치해 있다. 서울시내, 강남권에 이 같은 대규모 물류센터를 짓는다는 건 처음이자 마지막이 될 가능성이 크다. 경부고속도로 양재IC와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에 바로 붙어 있어 서울시내는 물론 수도권 전 지역에 2시간 내 상품 배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. 장기적으로 서울 서초구가 제안한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프로젝트가 실현된다면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. 양재 물류단지는 김홍국 하림 회장의 숙원 사업이다. 김 회장은 식품 생산·제조뿐 아니라 물류까지 아우르는 혁신적인 종합식품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신념으로 10여 년 전부터 수도권 식품물류 사업을 준비해왔고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2016년 현재 땅을 인수했다. |
본문의 근거 (객관적인 수치) |
5.7조 투자 `초대형 물류단지`고급호텔·R&D센터도 들어서 빅데이터기반 첨단 ICT 도입 적정량만 주문받아 재고 줄여양재IC 부근 9만5000㎡ 규모 수도권 전 지역 2시간내 배송서울시에 투자의향서 제출 내년말 착공…2025년말 완공 |
추가조사할 |
|
적용할점 (현직자에게 할 질문) |
|
연관기사 링크 |
'경제기사 스크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헤드라인(요약과 압축)오픈뱅킹 서비스 시행 1년이 가져온 변화 (0) | 2020.10.28 |
---|---|
오디오플랫폼의 유튜브 '스푼라디오' (0) | 2020.10.21 |
포스트코로나 새판짜는 `이통3사 별동대` (0) | 2020.10.12 |
디지털격차 (0) | 2020.09.17 |
`클라우드·AR` 기술민주화 이끈다 (0) | 2020.09.14 |